티스토리 뷰

모바일소프트웨어/자바

vector

백수진 2021. 10. 21. 18:06

vector란 리스트를 구체화시킨 클래스로 객체를 이용해서 배열에 원하는 값 및 객체를 add(넣기), get(불러오기)를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<why?>

왜 사용할까?

vector가 배열의 기능을 해준다면 ArrayList()나 LinkedList()를 사용하면 될텐데 왜 사용하는 걸까?라는 의문이 들 것이다.

=> 답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static을 사용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처럼 vector는 동기화를 제공하기때문에 안전하기때문이다.

단, 동기화로 인해서 vector는 낮은 성능을 가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
 

<how?>

어떻게 사용할까?

 

 

1. java.util.Vector

벡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Vector를 import해줘야 사용이 가능합니다.

 

2. Vector<vector에 들어갈 자료의 형태> vector_name = new Vector<vector에 들어갈 자료의 형태>();

벡터의 사용을 위해 벡터에 들어갈 자료형을 위의 명령문에 넣어 객체를 만들어줍니다.

 

이때, 자료형에는 Integer, Double, Stirng, 객체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3. Vector의 메소드

- add(걊) : 값을 넣어줌. => 앞에서부터 들어감

- remove(값) : 값을 제거함 => 뒤에 있던 것들이 앞으로 당겨와짐

- get(index_num) : index_num에 인덱스 번호를 써주고(0부터 정의됨) 그 값을 불러올 수 있음.

- size() : 벡터에 값이 몇개 들어있는지 체크하기 위해서 vector.size()를 사용할 수 있음.

- iterator() : vector.iterator()를 활용해 iterator객체를 사용할 수 있음. => hasNext()등의 활용가능. => 객체를 만들어야해서 비교적 느림.

- indexOf(값) : 값의 index번호를 알고싶을 때 사용

 


만들어놓은 Person class를 자료형으로 설정해서 vector하나를 활용해 여러 Person객체를 저장할 수 있음.

person을 상속받은 Employee

 

위의 예시처럼 객체를 vector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음.

 

'모바일소프트웨어 > 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eneric class  (0) 2021.10.19
자바에서의 객체 비교  (0) 2021.10.16
자바 문자열 다루기  (0) 2021.10.11
Static변수와 객체생성의 관계  (0) 2021.10.01
java 변수  (0) 2021.09.28